[앱만들기] 개인앱으로 자동수익 월 천만원 도전기 – (사주/점앱으로 돈벌기)

개인 앱으로 자동 수익 월 천만원 가보자~ 오늘은 전에 사주/운세 앱을 만들어서 자동 수익 월 천만원에 도전했던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콘텐츠는 사주 팔자에 대한 앱이었습니다.무료 콘텐츠+유료 콘텐츠로 구성하였습니다.인앱 결제와 에드몹 광고를 통해 수익화에 도전했습니다.

한때 월 300만원까지 수익화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그때 자동수익 월 천만원이 갈 줄 알았어요. ^^

하지만… 결론적으로… 실패했습니다.3년 전의 일로 아직 아쉬움이 남아 있습니다.족집게 토사 – 사주팔자 앱 일명 ‘족집게 토사’ 앱이었습니다.안드로이드와 IOS에 서비스하고 하이브리드 앱으로 개발했습니다.지금은 서비스가 되지 않습니다.

그럼 사주/점 앱 족집게 도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 볼까요?

족집게는 사주팔자를 신개념 만세력 해석을 통해 사주/운세/오늘의 운세 등을 제공하였습니다.그리고 다른 사주 앱과 차별한 점은 집어듣기를 통해 개인의 재물운/연애운/사업운/건강운이 오는 시기와 해석을 콕핏에게 제공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주를 입력하고 ‘대박이 언제인가요?’와 같은 카테고리별 질문을 통해 대박이 날 확률이 높은 시기와 운세 등에 대해 정밀한 만세력에 기반한 사주 팔자 분석을 통해 답변을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성은 무료 콘텐츠와 유료 콘텐츠로 구성되어 무료 콘텐츠 제공을 통해 유료 콘텐츠 결제를 유도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사실 다른 사주/점 앱과의 차별점이 ‘몰아듣기’였어요.이 콘셉트가 한때 성공해서 월 300만원까지 인앱 결제가 가능했던 것 같습니다.

앱 결제는 3,000원, 5,000원, 10,000원씩 가능하며 해당 포인트를 충전한 후 사용 시 차감하는 방식이었습니다.추가로 에드몹을 달아 수익화에 도전했지만 광고 수익은 그리 크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사주팔자를 한다는 것이 굉장히 복잡한 로직을 가지고 있어서 그 로직을 시스템화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그리고 사주팔자 분석에서 사주팔자를 기준으로 만세력을 만들고 이에 따른 천간, 지지, 대운, 60갑자 분석, 오행, 육친, 일간과 월지, 재/용신/관/인성/식상 등을 분석하여 로직화하였습니다.

개발환경및시스템구성,그러면참고용으로어떻게개발했는지시스템구성에대해서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

크게 안드로이드 앱과 IOS 앱을 구현했고 관리자용 Back Office도 함께 개발했습니다.- 안드로이드 앱: 사주/점, 궁합보기, 툭 집어듣기, Push 알림 기능, 카카오톡 연동 등 – IOS 앱: 안드로이드 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아이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함 – 관리자용 Back Office: 백오피스를 통해 사용자 관리/만세력 조회/메뉴 관리/연결 관리 등의 관리자 기능 구현함 – Data Base: MySQL-Javasode: MySpray, Framework, Framework, F하이브리드 앱, Jquery, Angular.js.

결론적으로 하이브리드 앱으로 개발하고 한 번의 개발로 안드로이드와 IOS를 커버하기 위해 폰갭과 코도바 개발 환경을 채택했습니다.하이브리드 앱의 가장 큰 장점은 하나의 개발로 안드로이드와 IOS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앱에서 가장 조회수가 많았던 ‘대박 언제 맞습니까?’ 서비스 화면입니다.그렇게 대박이 언제 나는지 조회할 수 있었어요.자신의 사주 팔자에서 만세력에 근거해 대박 확률이 높을 때를 계산해 주었습니다.이게 굉장히 인기가 많았어요.역시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돈을 많이 버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백오피스 화면입니다.백오피스를 통해 사용자관리/운세조회/만세세세력조회/메뉴관리/접속관리 등의 관리자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마케팅은요? 플레이스토어에서 사주나 점 등의 키워드로 검색해보면 아래 화면처럼 엄청난 앱이 많습니다.

그럼 수익화를 위해서는 마케팅이 필요하겠죠?그래서 저희도 마케팅을 했어요.

마케팅에 많은 돈을 들인 것 같아요.

  1. 첫 출시 후 앱 다운로드 카운트 늘리기 – 불법일 수 있지만 어쨌든 카운트를 늘릴 필요는 있었습니다.- 카운트를 늘려주는 서비스 회사가 많아요.- 다만 다운로드까지는 무리하게 카운트를 늘리고 추가로 늘리려 했지만 비용적인 면에서 더 이상은 하지 않았습니다.
  2. 2. 홍보영상 및 홍보용 디자인제작 – 모델까지 쓰면서 홍보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홍보용 디자인 및 로고 제작도 했고… – 비용 좀 듭니다.
  3. 3. 블로그 및 SNS 마케팅 – 파워블로그 및 유료 SNS 마케팅을 실시하였습니다.- 비용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만.
  4. 사실 마케팅은 제가 진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이나 실제 내용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
  5. 위와 같은 마케팅을 했더니 월 300만원 정도까지 인앱 결제에 들어갔습니다.약 1년 이상은 월 100만원 정도의 수익은 꾸준히 났던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6. 하지만 마케팅 비용과 수익을 비교하면 사실 남는 게 없었어요. ^^ 결론적으로 개인 앱에서 자동수익 천만원 달성 실패^^ 조금 아쉬운 결과이긴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꾸준한 수익화는 실패했습니다.
  7. 사업 구성 인원이 3명으로 동업 형태로 했는데요.제가개발하고친구가마케팅하고다른사람이콘텐츠를만들었어요.그리고 수익과 비용을 엠팡하겠다고 약속하고 진행했어요.
  8. 그런데 동업이라는 게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깨닫게 됐어요.각자의 입장과 생각이 달라서 문제가 생겨 결국 헤어졌어요.
  9. 저는 개발 입장에서 수익/비용을 포기하고 손을 뗐고, 그 후 서비스는 중단된 것 같습니다.
  10. 어쨌든 저는 한 번 앱으로 수익화에 도전한 경험으로 만족합니다.앱 기획에서 개발, 마케팅, 수익화로 한 사이클 돌려본 것은 나름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합니다.
  11. 오늘은 이전 앱으로 수익화에 도전했던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12. 여러분 앱으로 수익화에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13. 감사합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