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한국건강관리협회입니다.국내 고혈압 추정 환자 1,200만 명, 무려 성인 인구의 29%에 해당합니다.
고혈압은 심뇌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원인인 만큼 젊든 고혈압 전 단계 환자든 안심해서는 안 됩니다.
고혈압 전단계
혈압범위수축기(mmHg)
이완기(mmHg) 정상 120 미만 그리고 80 미만 고혈압 전 단계 120-139 또는 80-891 단계 고혈압 140-159 또는 90-992 단계 고혈압 160 이상 또는 100 이상 고혈압 진단 기준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 수치보다 낮으면 안심하는 분들이 많은데 고혈압 전 단계도 정상 범위를 벗어난 상태에서 앞으로 고혈압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고 정상 수치인 사람보다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성도 훨씬 높습니다.
관상동맥 질환, 뇌졸중 등의 심각한 합병증은 나이를 불문하고 있습니다.
고혈압 전 단계라면 혈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관리를 시작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혈압 전 단계 가이드라인 정상 체중을 유지해 주세요.∙ 하루 6g 이하로 염분 섭취를 줄여주세요.∙ 과일, 야채를 먹고 포화지방산, 지방을 피하세요.∙ 매일 최소 30분 유산소 운동을 하세요.∙ 남자 1일 2잔, 여자 1일 1잔 이하로 금주하세요.
- 감량
체지방이 10% 늘어나면 수축기 혈압은 6mmHg, 이완기 혈압은 4mmHg 정도 높아집니다. 비만인 사람은 고혈압 위험이 5배 이상 높기 때문에 감량이 필수입니다. 체중을 10% 줄이면 개인차에 따라 5~20mmHg의 혈압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식이요법
고혈압 전 단계 환자가 4주간 염분 섭취를 줄이면 수축기 혈압 16mmHg, 이완기 혈압 9mmHg을 낮출 수 있습니다. 우리 국민은 하루 평균 12g 이상의 염분을 섭취하기 때문에 저염 식단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혈압 강하에 도움이 되는 칼륨과 칼슘은 과일과 채소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양소가 파괴되거나 염분 섭취량이 많아지지 않도록 삶거나 절이지 않고 섭취합니다. 지방 섭취를 피한다고 혈압이 현저히 떨어지지는 않지만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유산소운동
매일 최소 주 3회 이상 하루 3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반복하면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각각 5mmHg 정도 낮아집니다. 운동 전 준비운동과 운동 후 마무리운동을 하며 운동강도는 자신에게 맞는 수준에서 점차 높입니다.∙ 40세 이상 남성, 50세 이상 여성·흡연자·과체중, 비만인 사람·만성질환자, 심장질환자·운동 중 가슴통증, 어지럼증 경험자 같은 사람은 유산소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의사의 진찰 또는 검사가 필요합니다. 운동 중 가슴통증, 어지럼증, 팔과 턱으로 이어지는 통증, 호흡곤란, 불규칙한 심장박동, 심한 피로를 경험한 경우 즉시 운동을 중단하고 병원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4. 절주
음주 상태는 일시적으로 혈압을 낮추지만 직후에 만성적인 혈압 상승을 일으킵니다. 남성에게 허용되는 알코올 섭취량은 1일 28g 이내로 소주 1잔(50cc) 또는 맥주 2잔(350cc)에 해당합니다. 노인과 여성은 남성의 절반으로 줄이고, 그 이상의 모든 음주는 혈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며 혈압을 측정할 때까지는 진단되지 않습니다.
생활 속 지침 실천과 동시에 주기적인 혈압 검사를 권장합니다.
본 게시글의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정보를 재구성한 것으로 한국건강관리협회의 공식적인 의견은 아닙니다.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확진자 138,311명(629명 추가 확인) 21년 5월 27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20명, 해외 유입 사례는 9명 확인되었으며 누적 확진자 수는 138,311명(해외유입 8,975명)입니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6,235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4,463건(확진자 122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6,678건(확진자 6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7,376건, 신규 확진자는 총 629명입니다. 신규 격리 해제자는 606명으로 총 128,180명(92.68%)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8,188명이 격리 중입니다. 중증 환자는 154명, 사망자는 3명이며 누적 사망자는 1943명(치명률 1.40%)입니다.구분총계결과 양성검사중인 결과 음성확진자의 격리해제중인 사망5월26일(수) 0시기준 9,629,458137,682127,5748,1601,940121,069,370,7075.27.(목) 0시기준 9,665,693138,31128,1881,943122,6599,404,723 변동+36,23+3+1,590
새로 확진된 629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출처 – 중앙방역대책본부 [국내발생 확진자 현황 (5월 27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제주 216182730152368791761610182642,0805,4259,6235,8282,6131,9732,439432,0332,7603,273,0661,344,433948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 (5월 27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 유입국 확인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 (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90612003645 누계 8975744,3151,5022,614443273,8035,17234,252 (0.8%) (48.2%) (26.7%) (29.1%) (0.3%) (42.47%) (5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