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공부하는 강아지입니다~!
11월 FOMC 회의에서 물가상승률이 떨어진 것을 보고 시장은 오는 12월 금리인상은 빅스텝(50bp)으로 할 수 있고 내년쯤 금리를 인하하지 않겠느냐는 작은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결론을 먼저 말하면 그렇지 않을 것 같아요. 사람들의 기대심리(기대인플레이션)가 충분히 바닥날 때까지는 연준에서 고금리를 일정 기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데요. ‘김일구의 전쟁’을 보면서 왜 그런 가능성이 언급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출처 : 김일구의 전쟁 (‘22.11.22)
# 사람들은 아직 항복하지 않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 심리가 약화될 때까지 금리를 계속 인상한다
ⓐ 연준의 물가 억제 대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

trainer24, 출처 Pixabay
연준의 목표는 미국 물가안정+장기적 경제성장 변동성이 큰 유가, 곡물을 제외하더라도 근본적인 물가상승 이유는 사람들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커졌기 때문에 연준은 미국 물가안정과 장기적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예나 지금이나 물가(인플레이션)를 잡는 데 애를 먹고 있습니다.과거 오일쇼크로 고유가였던 1980년대(지금과 비슷하다) 미국의 노력으로 유가 곡물 등 가격 변동성이 커 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물리치는데요. 그래도 물가는 안정되지 않아요.유가, 곡물 등이 문제가 아니라 기타 모든 물가 요소가 올랐기 때문입니다. 즉 사람들의 인플레이션 기대 자체가 커진 것이 문제였던 것이다.ⓑ ●사람들 기대심리 확실히 꺾어야 물가도 안정된다

건방지다
극약처방→경기침체가 와도 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으려고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사람들의 소비가 줄고 물가하락의 핵심 ‘물가하락만 남았다’는 부러진 기대심리 ‘미국은 레이건 대통령 시절 경기침체가 와도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대폭 상승하는 극약처방을 합니다.얼마나 금리를 대폭 인상했는지 미국은 1년간 경기 침체를 겪습니다. 이때 사람들의 생각이 바뀝니다. 경기침체로 힘들기 때문에 소비를 줄이고 → 기업은 제품가격을 낮추면서 대응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물가가 떨어졌는데요.핵심은 사람들의 생각과 기대심리가 꺾인 것입니다. 이제 정말 끝났다…고 항복할 시점이 와야 정말 물가가 안정된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지금 미국 경제 호조로 기대심리 약화하려면 더 걸린다”

alelmes, 출처 Unsplash
현재 미국은 소비가 좋고 고용이 견조(기대심리가 좋은)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현재 상황 유지 또는 금리를 좀 더 올릴 수도 있지만 시장 충격을 줄 정도는 아닌 5% 이내에서 마친 분, 미국은 경기침체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지금 경기가 좋은 편입니다. 고용이 탄탄하고 소비도 괜찮은데요.(그래서 이번 블랙프라이데이에서 사람들의 소비 정도를 연준에서 참고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사람들이 망한다고 기대심리가 꺾일 상황은 전혀 아니에요. 연준이 금리를 내릴 필요가 없는 상황이거든요.따라서 연준은 내년에 금리를 더 올리거나 유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지금도 금리가 이례적으로 높기 때문에 조금 더 올리면서 기준금리 5%를 넘지 않겠느냐는 게 영상 정리 내용입니다. # 정리하면 고금리에 익숙해져야 한다. 이미 그러고 있을지도…
[3줄 요약]ⓐ 유가 등을 제외한 물가 전반의 상승과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물가가 내려갈 것 같다는 기대심리가 꺾여야 물가가 안정된다ⓒ 지금 미국 경제가 좋아 내년에도 고금리는 유지위에 요약했지만 진짜 핵심은 사람들이 물가가 내려갈 것 같다고 기대심리가 꺾여 ‘항복’을 하는 시점이 돼야 연준이 금리인하 등 다음 조치로 옮겨간다는 것입니다.반면 내용처럼 미국 경제는 말만 어렵고 소비, 고용 등 민간 쪽은 아직 괜찮기 때문에 내년에도 고금리가 더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금리가 높아지면 아무래도 기술주, 성장주 등을 필두로 상당수 주식의 프리미엄 하락 가능성이 높아지는데요.
[공부/펌] 금리와 자산의 관계 :: 좋은 자산을 싸게 모을 수 있는 시기 (feat. 신성철님)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강아지입니다~! 요즘 금리 중력이 무섭게 시장을 끌어내리고 있는데요. 금리와 자산에 blog.naver.com
이전 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금리는 예측할 수 없고(이랬는데 내년에 갑자기 금리를 내리기도 하고) 금리로 인해 자산이 계속 오르기 때문에 ‘성장’하는 기업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했습니다.그러니까 오늘 정리한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꺾이는 시점은 향후 반등의 시작점 정도로 참고해서 조금이라도 더 싸진 성장성 좋은 기업 및 자산에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게 오늘의 진짜 결론이죠. 정리 끝!
이전 글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금리는 예측할 수 없고(이랬는데 내년에 갑자기 금리를 내리기도 하고) 금리로 인해 자산이 계속 오르기 때문에 ‘성장’하는 기업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했습니다.그러니까 오늘 정리한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꺾이는 시점은 향후 반등의 시작점 정도로 참고해서 조금이라도 더 싸진 성장성 좋은 기업 및 자산에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게 오늘의 진짜 결론이죠. 정리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