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우성대학교 홍보대사 소리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집 밖에 나가지 못하고 하루종일 전자기기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요. 소리도 하루 종일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보는 날이 많아졌어요.
하지만 이처럼 잦은 전자기기 사용은 VDT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 이름조차 낯선 VDT 증후군, 어떤 것인지 썰매와 하나하나 살펴봅시다!
VDT(Video Display Terminal) 증후군이란?

VDT증후군은 Video Display Terminal의 약자로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각종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통칭하는 단어입니다.
이는 꾸준한 운동 없이 전자기기 사용을 과도하게 함으로써 근골격계나 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통증으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근막통증후군, 거북목증후군, 스트레이트넥, 손목터널증후군, 안구건조증, 어깨·목 통증 등이 모두 VDT증후군 증상에 포함됩니다!
VDT증후군 자가진단


VDT증후군 환자에게는 다양한 증상과 질환이 나타납니다. 그중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질환은 근막통증후군, 손목터널증후군, 안구건조증 등이 있습니다!
증상치료방법 근막통증후군·근육이나 주변 부위에 둔하고 아픈 통증이 깊고 넓게 분산되는 형태로 나타난다·목둘레 통증은 두통, 눈 주위 통증은 이명, 어깨 근육통은 팔이나 손이 저리고 힘이 빠지는 느낌·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의 약물치료·자세를 바르게 하며 장시간 작업 시 최소 30분에 한 번 가벼운 스트레칭 손목터널증후군·야간에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엄지와 둘째, 넷째 손가락 일부가 저리거나 뜨거움·사물을 자주 떨어뜨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굳어지거나, 눈이 굳어지거나,
VDT증후군 예방법

.jpg)
TV, PC, 모바일 사용 시 20분에 한 번씩 먼 산을 보는 밝은 화면을 오랫동안 응시하면 눈의 피로도는 물론 목과 어깨 근육 긴장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TV나 PC, 모바일을 장시간 사용할 때는 20분마다 20~30초씩 먼 산을 보면서 눈을 깜빡이고 스트레칭으로 목이나 어깨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모바일 화면 밝기는 75% 이하, 실내 습도는 40~70% 유지 VDT 증후군이 우려되지만 PC나 모바일 사용이 줄어들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최대한 건강을 해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바일 화면의 밝기는 75% 이하로 너무 밝거나 어두워지지 않고 실내는 건조하지 않도록 40~70%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오늘은 현대인들이 흔히 볼 수 있는 VDT 증후군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우리의 일상에 완전히 정착되어 버린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피할 수 없습니다. 바른 자세로 건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죠?
지금까지 우성대학교 홍보대사 소리였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