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21년도도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21년도 마지막 약물치료학 포스팅은 녹내장으로 시작합니다!

녹내장의 정의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은 외부로 들어오는 빛을 뇌가 이해할 수 있는 전기적 신호로 바꿔주는 시신경 덕분입니다.”이 시신경이 손상돼 시야 결손을 유발하는 질환을 녹내장이라고 합니다.
시신경의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는 안구의 압력을 나타내는 안압입니다. 따라서 녹내장의 치료적 접근은 안압을 낮추는 것으로 시신경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녹내장의 종류

방수의 형성과 배출 과정
눈의 안압은 모양체에서 생성되어 섬유주로 배출되는 방수라는 액체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때 방수 생성이 배출보다 많거나 방수 배출이 원활하지 않으면 안압이 상승하여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녹내장은 병태 생리학적 차이와 발병 원인에 따라 나뉩니다만,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방각의 각도에 따라 개방각, 폐쇄각의 녹내장 분류
-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가장 일반적인 녹내장. 홍채와 각막 사이를 이루는 전방각이 40도로 정상이지만, 방수 유출이 일어나는 섬유주가 미세하게 손상되어 방수 유출이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녹내장. 안압은 정상화 21mmHg 이상.
- 2) 원발성 폐쇄각 녹내장갑 자기상승한 후방 압력에 의한 홍채의 각막 쪽의 이동으로 홍채와 각막 사이를 이루는 전방각이 10~20도 가량 좁아져 방수 배출이 안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녹내장. 안압 40-90mmHg로 급격히 상승하여 긴급치료 필요.
- 3) 정상 안압 녹내장 안압은 정상이나 시신경이 약하고, 일반적인 안압에도 시신경이 손상되기 쉬워 발생. 시신경이 정상 안압에도 손상될 수 있어 다른 녹내장과 같이 안압을 낮추는 치료를 진행한다.
- 4) 선천성 녹내장 출생 3년 이내에 발생하는 녹내장 유전에 의해 발생.
- 5) 2차성 녹내장 장식별 가능한 원인에 의한 안압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녹내장.
▲ 녹내장 증상 = 일반적인 개방각 = 녹내장은 초기에는 증상이 없다 증상이 악화되면 시야흐림, 시력저하, 두통, 멀미, 구토, 충혈, disc 변화, 주변 시각 또는 측면 시각의 상실, 터널 시각, 실명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녹내장 치료제의 종류

녹내장 치료제의 기전
녹내장 치료제는 방수 생성을 억제하거나 방수 배출을 증가시켜 안압을 낮추는 것을 공통의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약물치료로도 안압이 떨어지지 않으면 방수배출로를 직접 여는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 BB (베타 블로커)

녹내장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는 코솝 점안액(Timolol+Dorzolamide 복합제)1) 작용기전 ciliary epithelium의 베타수용체를 차단하여 방수생성 억제
2 ) 종류 Timolol , Betaxolol , Carteolol , Levobunolol , Nipradilol , Metipranolol
3) 이상반응 국소적으로 작열감, 찌르는 듯한 느낌, 통증, 결막염, 시야흐림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전신반응에 의해 서맥, 기관지 수축 등의 경구용 베타블로커의 부작용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PG (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진)

녹내장 치료제로 자주 사용되는 Lantanoprost 제제의 쟈라탄 점안액1) 작용기전 Uveoscleral route로 방수배출 증가
2 ) 종류 Lantanogprost , Travoprost , Bimatoprost , Tafluprost , Unoprostone
3) 이상반응 홍채색소 침착, 속눈썹 증가 및 색소 침착 (시험에 자주 나오는 부작용입니다.)
*PG제제는 특이부작용이 크지 않고 first에서 많이 사용되는 약물이라고 합니다.
3 . CA 억제제 ( Carbonic anhydrase inhibitor )

BB인 Timolol과 CA 억제제인 Dorzolamide의 복합제인 코솝 점안액1) 작용기전 carbonicanhydrase를 차단하여 ciliary body내의 HCO3 분비 억제->방수생산 억제
2) 종류 점안액 : Dorzolamide, Brinzolamide 경구제 : Acetazolamide, Methazolamide (경구제는 부작용이 많아 3rd line으로 사용)
3) 부작용 점안제 : 작열감, 쓴맛, 시야흐림, 각막 부종 경구제 : 위장 장애, 식욕 변화, 저림, 이뇨 등
4. 콜린 효능제(Cholinergic drugs)

콜린 효능제 점안액의 이소프 토카핀1) 작용기전 ciliary muscle 수축→ 섬유기둥 열림→ 방수유출 증가
2. 종류 Pilocarpine
3) 부작용 축동, 원근조절장애, 암순응장애
5. 알파2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알파2 아드레날린성 효능제인 알파 간피 점안액1) 작용기 전 방수 생성 억제 및 방수 방출 증가의 두 가지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2 ) 종류 Apraclonidine , Brimonidine
3) 부작용 공통: 작렬감, 건조감, 충혈, 소양감, 결막 출혈
내성, 알레르기 반응 → Brimonidine이 Apraclonidine보다 적음
녹내장 치료 지침

개방각 녹내장 치료 알고리즘(2018 임상약료학 요약집)
녹내장 치료에 있어 1st로 사용되는 것은 주로 BB 또는 PG 제제로, 그 후 CA 억제제나 알파2 아드레날린성 효능제, 콜린 효능제 등을 추가하거나 수술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마치겠습니다.^^
#녹내장 #녹내장치료 #녹내장약물치료 #약물치료학녹내장 #코솝 #알파간피 #이솝점안액 #알파간피점안액 #이솝토카핀점안액 #Timol #Dorzolamide #Pilocarpine #방수barby #티모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