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봤어” 천문학자는 별을…

심채경 지음 문학동네

내가 어렸을 때 살던 경상북도의 한 시골 마을에는 밤마다 하늘에서 별이 쏟아졌다. 흔한 밤, 더 흔한 별… 별거 아닌데… 20세기 나의 빛나던 20대 어느 날,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가끔 돌아간 친구와 헤어지는 게 아쉬워서 차 안에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꺄악! 오랜만에 올려다본 밤하늘은 정말 수천개의 은하들이 그리워하는 검은 하늘보다 빛나는 별들이 더 많이 보였다.. 그날 밤, 저 하늘, 저 별들.. 나는 아직도 그날 밤을 잊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그날 밤에 반해 조성모의 ‘투헤븐’을 열번이나 들은 것 같다.20년이 넘은 지금 나는 그런 밤을 꿈꾼다. 하지만 지금은 자주 오지 않는다는 걸 안다.이 책 검은 표지의 은박지로 인쇄한 별을 보면서 그날 밤 그 별을 떠올렸다.천문학! 천문학자! 관심이 전혀 없던 과학책을 내가 다룬 것은 순전히 표지에 새겨진 별 때문이다.그러나 내가 본 것은 단지 별이었을 뿐 천문학에 대해서는 한 번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세계였다.

한국에는 천문학자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는 걸 보면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이 그런 것 같아. 이 험한 땅을 밟은 작가에게 친근감을 느낀 것은 별세계와 같은 거대한 우주를 보고 연구하고 논문을 쓰기도 하지만 집에 돌아가면 똑같이 아이를 키우는 직업이라는 것.아! 우리와 똑같은 일상을 사는 천문학자 우리 옆에 천문학자가 살고 있어~ 갑자기 다가왔어. 천문학자들은 우주선 같은 연구실에 처박혀 또렷한 말투와 우주어를 쓰면서 어느 행성과 어느 행성이 충돌할 것 같다는 핵 소식을 전해 줄 사람들로 알았는데 무지가 이토록 상상력을 발휘하다니.( ´ ; ω ; ` )

이 책은 생활밀착형 천문학자의 우주를 사랑하는 글이다.물론 직접 선택한 직업이었기에 나름대로 열심이었겠지만 우주를 사랑하는 마음이 10배 백배는 더욱 믿음을 보인다. 아, 태어날 때부터 00네~ 라는 말이 어울리길..최근 서점에서 구할 수 있는 칼세이건의 코스모스는 평생 천문학 연구와 교육에 힘써온 홍승수 교수가 새로 번역한 판본이다.만약 잠시후 또 새로운 번역본이 나오면 나는 그때도 개정번역판을 다시 사들일 것이다.훌쩍훌쩍 소리내어 “이 아저씨 또 사람 선동하지 마!” 하고 생각하며 책장에 늘어놓는다.어쩌면 그것은 나의 우주를 사랑하는 방식이다.천문학 점성술 농경에 필요한 달력에는 p.87 우리가 많이 이용했다. 이미 한국적 관습에 있던 학문이었다. 한국이 사용하는 1만원권 지폐의 뒷면에도 한국 전통의 별자리가 찍혀 있다. 천문학의 가장 큰 차이는 서양은 개개인이 관측하고 기록을 남긴 데 비해 동양, 특히 우리의 천문 관측과 기록은 국가가 주도하였다. 그래서 천문기록이 역사서에 등장한다. 자고로 국가가 통솔하고 주도할 정도의 관심 분야였던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한국 천문학사를 오늘의 우리는 외면하고 있다.우주 탐사에는 막대한 예산이 든다. 정부 지원으로 하는 일이라 국가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제시하고, 공문을 작성해 자신들이 낸 세금을 기꺼이 우주탐사에 쓸 수 있도록 허용하고, 공감하고, 지지하는 국민이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아직 우주탐사에 후진국이다.달나라에 가서 우주탐사선을 화성에 보내는 것을 TV로 보면서 부러워할 뿐이다. 재정이 취약한 연구실에서 할 수 있는 일은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언젠가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꿈을 꾸고 하루하루 최선을 다할 수 밖에 없어.이제 우리도 우주탐사에 관심을 갖고 힘을 보태야 한다. 천문학자가 아니라도 우주를 사랑하는 데는 수만 가지가 있으니까.이제라도 NASA보다 다채롭고 가치를 인정받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한 묶음으로 천문학이라고 부르지만 각각 심층적으로 연구할 대상은 따로 있다. 작가는 요즘 달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달의 전면에서 보는 지구는 지구에서 보는 달보다 4배나 커 보이며 푸른 보석처럼 푸른 빛을 띠고 천천히 도는 오르골처럼 아름답다고 한다. 낮이나 밤이나 겨울이나 지구의 위치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 만약 인류가 달에 정착해 산다면 지구가 보이는 쪽을 먼저 선점해 획득해야 한다는 대목은 집값으로 움직이는 요즘 세태에 비춰볼 때 귀에 남는 천문학 강의였다. ㅋㅋ과학논문에서는 언제나 저자를 ‘우리’라고 일컫는다.연구는 내가 인류의 대리자로서 행하고 있는 것이며, 그 결과를 논문으로 쓰는 것이다.그래서 논문 속의 ‘우리’는 논문의 공저자들이 아니라 인류다.달에 사람을 보낸 것도 미 항공운수국 연구원이나 미국의 납세자가 아니라 우리 인류다.그렇게 공을 들인 우주탐사 자료를 전 인류와 나누는 아름다운 전통은 그래서 당연하다.p.265266 똑똑해 보이는 천문학자도 실수를 하고 고민하고 사랑하는 이 시대의 우리보다 더 별을 사랑하는 한 사람이었다.우주여행 패키지가 등장하고 있는 요즘, 더 이상 남의 일로 생각하지 말고 이렇게 하면 무시무시한 성실성과 책임감으로 우리가 우주분야에서 인기인이 되는 날을 그려보자.BTS의 노래를 들으며 우주를 나는 기분이란.. 이 모든것은 우연이 아니니까.. 별에서 태어나 우주의 먼지로 방황하던 우리가 지구를 만난건 우주적으로 행운이니까..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