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성식 손해사정사입니다.
안과 질환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백내장과 녹내장으로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 개인 질환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러면 백내장과 녹내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백내장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면서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흐릿하게 보이는 질환입니다.
- 원인은 대부분 원인 불명, 유전성이거나 태내 감염, 대사 이상으로 나타나며, 후천적 원인으로는 노화, 외상이나 전신 질환, 안내 염증으로 나타납니다.
- 증상은 시력 저하, 부분 혼탁이 있는 경우, 단안 복시, 근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진단은 산동 검사를 실시하고 치료는 인공 수정체 삽입이 가능합니다.
- 2. 녹내장의 안압(정상 10~20mmHg) 상승으로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에 장애가 생겨 시야 결손이나 시력 저하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 원인은 안압상승, 방수흐름장애, 방수과다형성, 방수배출경로 이상 등으로 나타납니다.
- 녹내장은 개방성 녹내장과 폐쇄성 녹내장으로 구분되는데 개방성 녹내장은 정상 안압 녹내장을 포함하고 방수 유출로 인한 섬유주-슈렘관 장벽 결함으로 발생하며 폐쇄성 녹내장은 주변부의 홍채가 섬유주를 막아 전방위가 폐쇄되어 방수 유출 저항이 증가하여 발생합니다.
- 증상은 급성 녹내장의 경우 안압이 갑자기 상승하여 안통, 메스꺼움, 구토, 충혈이 심하여 주로 응급실에 내원하게 되며, 만성의 경우 시신경이 서서히 파괴되어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고 말기에 이르러 답답함을 느끼며 더 진행되면 실명에 이를 수 있습니다.
- 검사에는 안압 검사, 시신경 유두 검사, 시야 검사, 전방 각경 검사 등이 있습니다.
- 치료는 신속하게 안압을 낮춰 시신경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며 안압강하제 복용, 고침투압제 정맥주사를 사용하여 섬유주 대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 위험요인으로는 연령은 40대 이상, 녹내장 가족력, 근시, 안압이 높은 경우, 과거에 눈을 다친 경우 중심각막 두께가 얇거나 당뇨병, 저혈압, 편두통, 수면무호흡증 등이 있거나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간 사용 등이 있습니다.
- 특히 사고로 인해 산재나 교통사고 등으로 녹내장이나 백내장으로 진단된 경우 시력장애도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