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의 손길이 닿은… ● 이유는?자율주행기술

(출처 : 삼성)

자율주행기술 수준을 말할 때는 흔히 ‘레벨 1’, ‘레벨 2’로 구분하곤 한다. 어느 수준에 해당되느냐에 따라 얼마나 많은 부분을 자율주행기술이 보완해 줄지 짐작할 수 있다. 단 하나의 표준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흔히 미국도로교통안전국(NHSTA)이나 미국자동차공학회(SAE)가 세운 기준을 참고한다.

최근 미국자동차공학회는 기존 자율주행 기술 수준의 정의에 대한 세부 내용을 변경했다. 변경한 이유는 분명하다. 단계별 기술 설명이 주는 오해를 해소하고 정확한 개념을 전달하려는 의도가 반영됐다. 새로운 용어를 추가해 와전되는 개념도 손봤다. 자율주행 시스템 작동 시 운전자의 역할도 조정했다. 착실하게 발전하고 있는 기술 현황을 반영할 필요도 있다.

오른쪽이 개정된 자율주행기술 수준정의(출처:SAE)

이건 상당히 중요하다. 자율주행 기술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소비자들은 자율주행이라는 단어가 주는 이미지에 혼란을 느낀다. 기술을 과신하는 사례도 어렵지 않게 접하고 있다. 분명한 개념정리는 자동화된 주행의 한계를 인식시키고 나아가 누군가의 생명까지 구할 수 있게 한다.

우선 레벨0부터 레벨5까지 6단계로 구분한 프레임워크는 유지된다. 대신 6개 수준은 크게 2개 카테고리로 나뉜다. 0레벨2는 운전자 지원시스템(Driver Support Systems), 3레벨5는 자동운전시스템(Automated Drivering Systems)의 이름으로 분류된다.

운전자 지원 시스템 단계에서는 페달을 놓거나 핸들을 조작하지 않아도 운전자가 전반적인 이동을 제어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만든 차량의 자율주행 기술도 2레벨에 해당한다고 한다. 테슬라 운전자가 시속 100km가 넘는 속도로 질주하다 깊은 잠을 잤다는 위험천만한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지만 해당 기준대로라면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테슬라차뿐 아니라 현재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자율주행 기술은 대부분 운전자 지원 시스템 단계에 해당한다.

한편 자율주행 시스템 단계에서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 있더라도 자율주행기술이 작동하면 운전자가 차량을 제어하는 주체가 아니라고 설명한다. 다만 레벨3의 경우 요청을 받았을 때 운전자는 차량을 직접 제어한다.

차로 중앙에서 주행하는 레인센터링, 운전자와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같은 명확한 기술도 예로 들었다.

SAE의 자율주행기술수준 정의는 정기적으로 개정되고 있다. 대개 23년에 한 번은 업데이트된다. 이전 가장 최근에 개정된 것은 2018년 6월이었다.

테크플러스 에디터 나유권 [email protected]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