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몸이다 92회 △뇌졸중 △뇌경색의 원인 증상 △혈전 부정맥 △심방세동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내 머릿속 소리 없는 시한폭탄 혈관을 막는 혈전!
※ 뇌경색을 일으키는 혈전=뇌혈관 자체에서 혈전이 생겨 막히거나 다른 곳에서 생긴 혈전이 혈관을 타고 날아와 뇌혈관을 막을 수도 있다.
▶뇌혈관을 막았던 혈전 길이가 2cm 정도의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 가장 대표적인 것이 뇌에서 가까운 목의 경동맥
▶ 경동맥의 혈전에 의한 뇌경색 혈액을 뇌로 보내는 통로. 경동맥에서 관리를 할 수 없어 생긴 혈전이 쌓여 있거나 떨어져 나가거나 하면 뇌혈관으로 날아가 막히거나 하는 것
경동맥뿐만 아니라 심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뇌경색
▶ 심장혈전에 의한 뇌경색 심장에서 혈액을 펌프질하여 심장에 있던 혈전이 없어지면 가장 가기 쉬운 곳이 뇌혈관
심혈관 질환 없이도 심장의 다른 원인으로 인해 전뇌졸중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정맥 나오는 몸이다 92회 뇌중풍 뇌경색 원인
40대 뇌졸중의 약 40%를 차지하는 원인은 부정맥!
모든 부정맥이 다 뇌경색의 원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그런 부정맥 중 하나인 심방세동이 가장 위험해
[부정맥의 하나인 심방세동] 혈액이 들어오는 심방과 혈액을 내는 심실의 움직임이 불규칙하게 이루어지는 증상
▶ 심방세동에 의한 뇌졸중 중 심장이 불규칙하게 달리고 혈액이 원활하게 흐르지 않으면 심장에 혈액이 엉켜 붙는데 이것이 어느 순간 떨어져 혈관을 통해 뇌혈관으로 가면 뇌경색이 발생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의 경우 보통 성인의 심박수가 분당 60~100회 정도이나 심방세동은 분당 300회까지 빨라지는 심장
◆심방세동 자각 증세◆심장이 뛰고 숨이 가쁘거나 어지럽다.
◆심방세동의 문제점◆ 24시간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언제 그런 말을 하듯 증상이 사라지니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거나 지나치기 쉽기 때문에 그만큼 위험한 것
※ 부정맥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하며, 부정맥으로 진단될 경우 규칙적으로 혈관을 관리하고 체크하는 것이 중요
※ 부정맥이 발견되지 않는 이유는 맥이 부정확하게 움직이는 질환이므로 검사 시점에서 심장이 정상적으로 뛰면 발견이 어렵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24시간 기기를 장착하여 부정맥 발견 가능
그러나 이 검사에서도 부정맥이 한 번에 발견되는 경우는 20% 정도에 불과하며,
▶ 부정맥 문제가 없을 경우 1분간 측정한 맥박이 규칙적이며 횟수가 매번 비슷하다.
▶ 부정맥 문제가 있을 경우 1분간 측정한 맥박이 불규칙하고 횟수가 매번 다르다.
● 부정맥이 의심되면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보세요.만약 부정맥 진단을 받았다면 철저한 관리와 함께 약을 잘 복용해야 뇌중풍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전신 92회-①천연혈전용해제 연근가루 연엽차 만드는 법 효능봉 배꼽 힐링 운동법 뇌경색으로 반쪽… blog.naver.com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몸이다 92회 뇌졸중 뇌경색의 원인
뇌졸중의 원인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고지혈증·당뇨병은 뇌중풍 원인의 80% 차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은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질환
[노인의 골든타임!]
- 이~하고 웃는데 한쪽 입꼬리가 잘 안올라간다2. 손을 들었을 때 한쪽이 힘없이 떨어진다.3) 발음이 또박또박4) 하나의 물건이 둘로 보인다5. 심한 어지럼증 때문에 몸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거나 걸을 때 한쪽으로 몸이 쏠린다.
◆실조증상◆ 근육에 이상이 없음에도 운동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신경증상 소뇌에 이상이 있을 때 자주 나타나는 증상
[문제가 되는 혈관의 두께] 혈관의 노폐물이 혈관 벽에 붙어 혈관 내막의 두께가 1.5mm 이상이 될 경우
동맥경화로 발전 가능 혈관이 두꺼워지는 이유 중
첫째 이유는 노화, 둘째 이유는 만성질환인 고혈압, 고지혈증, 고혈당
혈액의 압력, 기름, 당분 등 혈액의 비정상적인 흐름이 혈관을 공격하여 염증에 의해 점차 두꺼워지는 혈관벽
혈관벽이 부풀어 터지는 혈전의 세 번째 원인은 흡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