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방까지 태워 주시겠어요?” 평안도 사투리를 쓰는 남자가 반도 호텔의 엘리베이터 보이에게 말을 건넸다. 미국식 예절을 갖춘 남자는 시종 상냥하고 침착했다. 그의 이름은 필립 안(Philip Ahn). 할리우드에 진출한 최초의 아시아계 배우로 영화 모정(1955)과 한국전쟁 고아의 아버지로 불리는 딘 헤스 대령의 실화를 소재로 한 영화 전송가(1957)에 출연하면서 할리우드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인물이었다. 그는 1959년 3월 12일 한국을 찾았다. 그리운 아버지가 잠든 땅을 밟은 것이었다.
필립 안의 아버지는 독립운동가 도산 안창호 선생으로 한국의 자주독립과 민주주의적 민족국가 수립을 위해 헌신한 지도자였다. 일제는 그의 영향을 두려워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이 1938년 3월 10일 만 59세의 일기로 서거했을 당시 민중시위가 벌어질 것을 우려해 망우리 공동묘지로 가는 길을 봉쇄하고 경계를 늦추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당시 장례식에 참석한 사람은 친인척 2명뿐이었다. 이승만 박사도 말년에 도산 천고를 써서 애도할 만큼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통곡했지만 식민지 시절을 벗어난 도산 안창호 선생의 마지막 길은 쓸쓸하고 고독했다.
1959년 3월 18일 오전 11시 필립 안은 대통령이 된 이승만을 경무대로 예방했다. 아버지와 이승만 대통령은 독립운동 노선의 차이는 있었지만 일제 강점기에 나라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장남 필립 안을 옛 친구를 만난 듯 반가워하며 조국 땅을 밟은 기분이 어떠냐고 물었다. “제가 부모님이 일제와 투쟁하다 돌아가신 곳도 이곳이고 그의 영면의 땅인 조국을 처음 밟으니 정말 감개무량합니다” 감회가 새로워 천천히 이야기를 이어가는 필립 안을 바라보던 이승만 대통령은 어머니 이승만 여사와 다른 가족의 안부, 필립 안의 미국 활동 등을 꼼꼼히 물었다. 이 자리에서 필립 안은 한국을 주제로 한미합작영화에 출연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며 아쉬운 만남의 자리를 마쳤다. 짧은 만남이었다.
이후 필립 안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묘소를 이장하기 위해 여러 차례 한국을 찾았다. 노력이 결실을 보기까지는 처음으로 한국 땅을 밟아 14년이 흘러야 했다. 1973년 11월 10일 필립 안은 미국에서 옮겨진 어머니 유골과 망우리 묘역에 묻힌 도산 안창호 선생 유골을 강남에 조성된 도산공원에 합장했다. 이 자리에는 정일권 국회의장을 비롯한 사회 각계 인사가 참석했다. 김종필 국무총리는 조사에서 도산 선생은 우리가 높이 받드는 민족의 큰 별이자 역사의 밝은 등불이라고 강조하고 도산공원은 스승과 부인의 영원한 안식처이자 우리 민족 영혼의 광장이자 국민의 정신적 성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을 주제로 한미합작영화에 출연하고 싶다는 포부를 이루지 못한 필립 안은 1978년 2월 28일 미국의 한 병원에서 숨을 거뒀다. 그날은 한국 시간으로 31절이었다. 도산 안창호 선생의 장남으로 태어나 미국에서 정착한 배우로, 이후 성공한 레스토랑 경영인으로 화려한 삶을 살았던 필립 안은 1984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Walk of Fame)에 이름을 남겼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대통령의 특별한 만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