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매주 금요일에 발행되는 글로벌 영화산업 소식지 ‘팝콘 레터’에 제가 작성한 기사를 모아둔 것입니다. 더 많은 기사들은 링크를 눌러 확인할 수 있습니다.프랑스 배급사의 데모, 2021년의 영화시장 요약, 알고리즘 조작 maily.so 넷플릭스가 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0년 개봉해 화제가 됐던 큐티즈가 추천받지 못하게 했다는 겁니다. 과연 어떻게 된 일인지, 그리고 지금은 일상화된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논란의 작품 <큐티스>
넷플릭스 알고리즘의 원리, 먼저 넷플릭스 알고리즘을 살펴보겠습니다. Netflix 의 알고리즘에는, 크게 나누면 「유사 유저 기반의 추천」과「유사 컨텐츠의 추천」의 2개의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유사 사용자 기반의 경우, 나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로 분류된 다른 사람이 본 콘텐츠를 나에게 추천함으로써 중점이 ‘유사 사용자’를 어떻게 정교하게 연결시키느냐가 핵심입니다. 반대로 유사 콘텐츠의 경우 <부산행>을 재미있게 봤다면 비슷한 좀비 장르의 <#살아 있다.재미있게 보자고 유추해서 추천하게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는 작품의 장르를 얼마나 세세하게 나누느냐가 포인트가 됩니다.
작품별 장르 데이터를 세부적으로 넣으면 한 작품을 여러 요소로 나눠서 추천합니다. 부산행을 좀비 때문에 재미있게 봤는지, 공유 배우라 그런지, 기차 액션 때문인지, 작품마다 세부 태그를 달아 가중치를 매겨 산술적으로 계산할 수 있게 했습니다. 좀비 때문에 살아가고 있어.>를, 공유 배우를 위해서라면 <도가니>를, 액션이라면 <미션 임파서블 1>을 추천할게요.
사용자에게도 동일하게 태그와 유사한 정보를 모아서 추천합니다. 성별, 국가, 연령, 시청시간대 등을 모아 ‘한국의 20대 여성들이 주말 오후 5시에 많이 본 작품’을 프로파일링해서 내보내는 거죠. 그래서 넷플릭스에는 각 작품마다 태그를 붙이는 ‘따거’가 있어 작품을 5만 가지(!)로, 좋아하는 그룹을 2,000개 이상으로 나눈다고 합니다.
<큐티스> 알고리즘이라면 <큐티스> 알고리즘은 왜 조작했을까요? 아동성 착취 문제 때문이에요. ‘큐티스’는 프랑스 빈민가 소녀들이 댄스그룹 ‘큐티스(귀여운 아이들)’를 결성해 댄스 콘테스트를 준비하는 내용이다. 11세 소녀들의 의상과 도발적인 춤이 노골적이고 선정적이라는 비판을 받게 됐죠.
문제의 의상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넷플릭스 구독 해지율이 증가했고 정치권에서는 아동성 착취를 부추긴다는 비난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11세 소녀들을 인터뷰했을 때 그들은 SNS에서 본 성적 이미지를 따라하고 싶어 했고, 그 불편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러냈다”며 영화를 통해 현실로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넷플릭스 측도 보수적인 가족 전통에 반대하는 소녀가 자유롭게 춤을 추는 이야기로 사회에서 어린 소녀들이 받는 압박감을 보여준 것이라며 선댄스 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알고리즘은 달랐다.넷플릭스로 해명은 했지만 <큐티즈>에 대한 부담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넷플리스는 알고리즘을 조정해 ‘공개 예정’, ‘비슷한 작품’, ‘기타’, ‘인기검색’ 등에 <큐티즈>가 검색되지 않도록 했다.네, 큐트(Cute)로 더 검색해도 ‘큐티즈(Cuties)’ 안 나오게 했어요.
넷플릭스측은 이번 일에 대해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하더군요. 그러나 일부에서는 최근 성전환 혐오 발언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데이브 샤펠 씨의 더 클로저에 대해서는 알고리즘을 조정하지 않는 것을 두고 큐티스 때와 비교해 비판하고 있습니다. 일방적으로 비난받았던 아동성 착취 문제와 달리 이번 성전환증 파동에는 강경하게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기업의 콘텐츠 추천 리스트에 ‘표시되지 않다’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는 것을 보면 네이버의 실시간 검색어에 대한 10년 넘게 지속되어 온 투명성 논란이 생각납니다. 그만큼 넷플릭스가 지금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했다는 증거겠죠. 이런논쟁은소모적이라고생각할지모르지만큰힘에는큰책임감이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