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치료 효과 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중 한의원

요즘 대부분의 직업군에서 컴퓨터가 많아지고 있어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손목 문제를 호소하는 분들도 많아지고 있는데, 오늘은 그 중 손목 터널 증후군은 어떤 질환인지, 어떻게 치료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상지에 생기는 말초신경포착증후군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수근관 내에서 정중신경이 만성적으로 압박되면서 정중신경지배영역에 통증, 감각이상, 무지구외축 등의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환자가 만성적인 손목의 불편함이나 엄지손가락, 검지, 중지 위주의 손 저림을 호소하며 내원하십니다.

정중신경은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손목 부위에서 9개의 굴곡근의 힘줄과 함께 수근관이라는 터널을 통과하는데, 이때 여러 요인에 의하여 관내 압력이 증가하여 정중신경이 압박되어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근전도 검사상에 뚜렷한 근력 약화 또는 무지근의 외축이 뚜렷이 나타나는 경우에 수술적 치료를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비수술적 치료를 권장하지만 손목 관절에서 정중신경과 가해지는 압박을 줄이는 방향으로 치료를 시행합니다. 보존적 치료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봉침치료, 약침치료, 침치료, 전침치료, 한약치료 등 한의원 치료를 찾는 분들이 매우 많은 만성질환 중의 하나입니다.

과연 손목 터널 증후군 치료법 중 바늘 치료가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알고 싶은 분이 많으실 텐데요. 그래서 이번에는 한국한의학연구원과 하버드 의학대학이 공동으로 진행한 손목터널증후군에 대한 침치료 연구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신경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지 ‘Brain(Impact Factor, 10. 1)’에 게재된 본 연구의 결과 요약

본 연구에서는 침 치료의 임상적 효과뿐만 아니라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Study) 및 Brain MRI를 통해 객관적인 지표변화를 함께 확인함으로써 침 치료의 효과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신경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회지인 ‘Brain(Impact Factor, 10.1)’에도 게재되어 있어 연구의 설계와 학문적 가치가 충분하다고 인정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손목터널증후군 환자 총 79명을 침 치료 그룹 56명(근위부/원위부), 위침 치료 23명의 세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치료 그룹> * 근위부 침 치료 그룹 : 해당 손목, 전완부 근처 근위부 경혈 침 치료 * 원위부 경혈 치료 그룹 : 반대쪽 하지부 원위부 경혈 침 치료 * 위침 치료 그룹 : 질환과 관계없는 경혈에 위침 치료 실시 (* 비침습적)

<치료 전후 관찰 항목> – ‘보스턴 손목 터널 증후군 설문지(BCTQ)’ : 증상변화 관찰 – NCS(신경전도검사) : 정중신경의 신경전달속도 확인 –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및 DTI(확산텐서이미지) : 뇌의 기능구조적 변화 확인

8주 총 16회 치료 후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장기적 치료효과 확인을 위하여 BCTQ의 경우 3개월 후 다시 확인하였습니다.

BCTQ 변화 BCTQ 점수상 8주 치료 후 진짜 침 치료, 위침 치료 그룹 모두에서 통증이 경감되었으나 치료 3개월 후 재평가에서는 진짜 침 치료군에서 점수가 25.1% 감소하여 유의한 치료 효과를 유지한 반면 위침 치료군에서는 11.1% 감소로 효과가 유지되지 않고 다시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신경전도검사 = 정중 신경전도검사에서는 실제 바늘 치료군에서 잠복기(Conduction Latency)가 0.16ms 감소한 데 비해 위침 치료군에서는 오히려 0.12ms 증가하였습니다.

fMRI,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fMRI를 통해 정중신경이 통과하는 둘째 손가락, 셋째 손가락을 자극하였을 때 뇌의 일차 감각 피질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의 정점 거리(D2/D3)를 측정한 결과, 진짜 바늘 치료군에서는 평균 1.8mm 증가한 데 비해 위침 치료군에서는 평균 0.1mm 감소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들 사이에서 느려진 정중신경의 신경전달속도와 저하된 기능이 바늘 치료 후에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TI, Diffusion Tensor Imaging, 확산 텐서 영상 DTI를 통해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의 뇌백질 구조를 관찰한 결과, 실제 침 치료 후에는 신경전도 속도가 개선됨으로써 환자 손에 해당하는 뇌백질의 구조 이상이 회복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침 치료는 손목터널증후군의 단기적 증상 완화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말초에서는 정중신경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뇌에서는 정중신경 지배 영역의 일차 감각 영역의 구조적 기능도 개선시킨다는 내용입니다.

이와 같이 손목터널증후군 치료법 중에서 침 치료는 그 효과가 명확하게 증명되며, 실제로 임상에서 손목터널증후군 환자를 치료하면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증상의 호전과 기능적 개선이 많이 관찰되므로 더욱 침 치료의 효과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법에 대해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정연의원으로 연락 주십시오.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 489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