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이 왜 중요할까요? 닐슨코리아와 TNMS를 어떻게 시청률 조사? 시청률 최고 기록은…

많은 사람들이 검색해서 보고 있는 ‘시청률’

그 시청률에 대한 여러 가지 궁금한 부분들을 굉장히 경제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청률 14%대로 종영한 ‘빈센조’와 1.7%대로 종영한 ‘오!’, ‘주인님’. [사진=CJ ENM, MBC 제공]

최근 방송업계는 심각한 시청률 빈부격차에 시달리고 있다. 빈센조 어느 날 우리집 현관에 멸망이 들어왔다 마인 오월의 청춘 등

높은 시청률을 자랑하며 흥행가도를 달리는 드라마가 있는가 하면, ‘오!’, ‘주인님’, ‘이미테이션’ 등 0%의 시청률로 굴욕을 맛보는 드라마도 있다.

방송가를 울리고 웃기는 시청률은 무엇일까. 왜 방송인들은 시청률에 흔들릴까.

Q. 시청률이 뭐죠?

A. 시청률은 TV 프로그램을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시청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시청률을 통해 우리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인의 TV 평균 시청 시간, 주 시청 시간대, 또 일별, 주 단위, 월 단위, 연 단위별 시청자의 시청 흐름뿐만 아니라

인접효과, 충실도, 도달률, 빈도분석, 채널이동, 특정 장르·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시청행태 비교, 광고효율 분석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시청률, 즉 미디어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을 기획, 편성 제작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TV 광고 가격을 결정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Q. 시청률은 누가 집계하죠?

A. 국내 시청률 조사기관은 닐슨코리아와 TNMS가 있다. 해외 시청률 조사기관은 대체로 1개만 두고 있지만 한국은 닐슨코리아와 TNMS 두 기관이 운영 중이다.

Q. 시청률 집계 역사는 어떻게 되었나요?

A. 1960년대 TV가 보급되면서 30년 가까이 설문조사, 전화조사(리서치), 자문조사(설문조사) 방식으로 시청률을 조사했다.

1965년부터는 각 방송사에서 대한방송사업협회를 통해 주 단위로 시청률을 집계했다.

방식은 전화면접조사였다. 한창 방송 민주화 바람이 불던 1980년대 말에는 방송국 노조에서도 별도 시청률을 조사하기도 했다.

1990년부터는 기계식 조사가 이루어졌다. 한국갤럽에서 선정된 가구의 TV에 피플미터기를 설치해 조사를 시작한 것이다.

1991년에는 닐슨코리아(당시 이름은 미디어 서비스 코리아, 약칭 MSK)가 시청률 조사에 나서면서

이후 1992년 한국갤럽이 시청률 조사를 접고 한동안 MSK에서 시청률 조사를 독점했다. 서울지역 300가구를 대상으로 TV 시청률을 조사했다.

피플미터는 방송 주파수를 감지해 시청률을 파악했다.

이후 방송 음향을 감지해 조사하는 오디오 매칭 방식이 이용됐고 케이블, 위성방송, IPTV가 등장해 셋톱박스를 이용한 조사를 진행했다.

때문에 시청률 조사가 정확해지고 조사 지역도 확대되어 수도권, 5대 광역시, 중소 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었다.

2019년에는 모든 케이블 방송권에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Q. 최근 닐슨코리아와 TNMS는 어떻게 시청률을 조사하고 있습니까?

A. 우선 TNMS는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3200가구를 대상으로 패널(참가자)을 구성한다.

방통위에는 4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된 시청점유율 조사 결과를 제공하는 TNMS는 엄격한 기준으로 패널을 선정한다.

이어 △TV 수상기에 설치된 피플미터로 자료를 수집한다. TNMS는 패널이 시청하는 시청 기록은 초단위까지 기록하고,

시청률 조사는 하루 단위로 매일 365일 휴일 없이 진행된다.

TNMS는 2017년 11월부터 TTA 자료를 추가 발표했다. 본방송뿐만 아니라

재방송과 IPTV 3사의 주문형 비디오를 통한 자료까지 합산한 수치다.

닐슨코리아는 △기초조사를 해 TV 환경을 파악하고 지역과 월 소득, 성별, 연령 등을 파악해 패널을 선정한다.

이후 패널 세대를 방문해 조사기기를 설치하고 조사기기에 기록된 세대의 시청정보를 수집해 시청정보를 데이터베이스(거대자료)로 통합한다.

아울러 프로그램 모니터링 정보를 정보화시켜 자료 분석으로 마무리한다.

닐슨은 2018년부터 가구 시청률 자료에 시청자 수를 추가 발표하고 있다. 개인 시청 형태를 전국 13개 시도에서 1000명 단위로 발표한다.

Q. 국내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작품은 무엇인가요?

A. 1996년 9월부터 1997년 4월까지 방영한 KBS2 드라마 첫사랑이다. 첫 방송 35.1%를 시작으로 최종회는 최고 시청률 65.8%로 마무리했다.

1980년대부터 현대까지를 배경으로 신분의 벽을 넘는 젊은이들의 첫사랑과 강한 형제애를 그린 주말드라마.

조소혜 작가가 극본을 맡고 이은진 김종찬 PD가 연출을 맡았다.

배우 최수종, 이승연, 배용준, 최지우, 박상원, 이혜영, 손현주, 차태현, 송혜교 등이 출연했다.

드라마 외에는 1983년 ‘이산가족을 찾습니다'(시청률 78%), 1998년 ‘프랑스월드컵 한국 vs 멕시코전'(시청률 79.2%)이 있다.

#드라마시청률 #최고시청률드라마 #시청률조사기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