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백과 출처
사람이 만든 별 인공위성
지구와 같은 행성 주위를 돌 수 있도록
로켓을 이용해 발사한 인공 장치
로켓 기술을 이용해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하면서 미국과 러시아가 앞다퉈 우주
개발에 주력한 결과 오늘날의 인공위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어.
지구 밖에서 돌고 있는 인공 위성
인공위성이 지구 주위를 계속 돌고 있는데
에너지가 얼마나 필요할까? 정답은
에너지가 하나도 필요 없대.그 이유는
뉴턴의 관성의 법칙과 지구의 중력 때문이다.
즉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어떤 물체를 앞으로
똑바로 던지면 바닥에 떨어지지 않고 계속
날아가야 되는데 지구 중력 때문에 바닥에…
떨어진다는 거야. 높은 곳에 물체를 놓으면
보통 1초에 5m/초씩 속도가 빨라지고,
바닥에 떨어진대 그러면 처음에 초당
지구에서 5m씩 멀어지는 속도로 던진다면
지구가 이끄는 힘과 맞물려 떨어지는 것도
떠나지도 않았겠지? 그 속도가
약 7.9km/초야 이 속도로 돌 수 있도록
인공위성을 궤도 1) 위에 올려놓으면
인공위성은 90분이면 지구를 일주한대
우주에는 인공위성이 몇 개 있을까.
정확한 숫자는 아무도 모른다. 왜냐하면
공개적으로 알려진 것 외에 각국에서 군사
목적으로 비밀리에 쏘아올린 것이
있기 때문이야 1957년 러시아에서 처음으로
인공위성이 발사된 이후 지금까지 5천여개의
개가 넘는 위성을 쏘아 올렸지만
수명이 지나거나 고장이 나서 사용할 수 없는 것을
제외하면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약 1천개라고 한다.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인공위성을 발사하거나
올리면 그 기술을 전쟁에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세계가 놀란다. 인공위성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적국의 군사기밀을 훔쳐볼 수도 있다.
최근의 전쟁을 첩보전이라고 할 만큼 인공위성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중요해졌다. 생각해봐.
전쟁에서 상대방의 중요한 군사시설이 있는 곳을
조사해서 정확하게 폭격하지 그래? 전쟁은 이제 끝났다
비슷할 것이다.
날씨를 알리는 기상 위성
뉴스로 일기예보를 할 때 한국을 지나는 구름
형태를 보여주는데 이는 기상위성으로부터 90분
간격으로 찍어서 보내는 사진 덕분이야. 태풍의 이동
경로, 비의 양, 바람 등의 기상정보를 예측하는 것은
아주 중요해.연간 수 조원의 재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인명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의 방송을 볼 수 있는 통신 위성
인공위성을 지구에서 36,000km 위에 띄우면
지구의 자전속도와 같은 속도로 지구를
공전하게 되다.이걸 보면 지구에서 항상 똑같은
곳에 있는 것처럼 보여서
정지위성이라고 불러. 이 정지 위성에서
위성방송을 해서 저궤도 위성을 여러 개의
개를 쏘아 이동통신에 이용하기도 한다.
위성중계방송과 위성방송을 시청하고,
이동통신을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인공위성의 힘이야.
이러한 위성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위성을
정지궤도로 발사해야 하는데 높이와
위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이 공간을
차지하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위치를 알리는 항행성
위치정보를 담은 전파를 발사하여 선박, 비행기,
개인까지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알리기 위한
성으로 GPS 위성이라고도 해.
우리에게 잘 알려진 GPS 역시 항행성을 이용한 장비야.
GPS는 처음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
측정하는 일반인은 물론 항공기 관제, 지진 감시,
구조 등에 활용되고 있다.
우주를 관측하기 위한 천문 위성
우주의 변화와 다양한 현상을 관찰한다.
위한 위성을 과학위성이라고 해 천문학에서
인공위성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데, 이를
우주망원경이라고 하지? 이 우주 망원경은
지구상에서 확인할 수 없는 천체나 잘 보이지.
없는 천체를 볼 수 있게 해줘. 전세계의 모든
천문대 건설 비용보다 더 많은 돈을 투자했다
허블우주망원경도 인공위성 중 하나다.
우주 정거장
그럼 지속적으로 무중력을
느낀다. 중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중력을
느끼지 못할 뿐이야.
그래서 물방울이 춤추듯이 사람들이
날아다니게 돼서 잘 때는 꽁꽁 묶어야지.
할게 호빵맨처럼 눈이랑
얼굴이 부풀어 올랐고 자른 머리는 바로
흡입해야 할 장치가 있어야 하며 물을
아껴야 되니까 목욕도.
정해진 공간에서 스펀지로 물을 묻혀 한 대.
2008년 한국의 이소연 박사가 처음으로
우주정거장에 다녀왔다.
지금까지 인공위성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알게되는것은 기대되고 감사합니다.
#누리호발사성공 #발사15분45초 #고흥나로 #인공위성의역할 #인공위성의역사 #우주정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