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연구원]자율주행 시대의 디지털 도로 인프라: 현황과 발전 방향

안녕하세요.

한국교통연구원에서는 매월 교통 및 물류 분야의 국내외 최신 이슈와 현안을 다루며 시민이 참여하는 교통종합전문지 월간교통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월간 교통’에서 다루는 다양한 주제 중에는 최신 이슈에 대해 심층 분석하는 ‘Special Topic’ 코너가 있습니다.

‘22.7월호’는 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한 ITS와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추진 방향을 심도 있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은 그 내용 중 <자율주행 시대의 디지털 도로 인프라: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 요약했습니다.예측 주체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부분 자율주행은 2020~2025년, 완전 자율주행은 2025년 이후 도입이 예상됩니다.

자율주행 도입 시 도로교통시스템에 일어나는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율주행차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도로 인프라를 준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Samuele_piccarini, 출처 Unsplash

국내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현황과 주요국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자율주행을 위해 구축해야 할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해야 합니다.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필요성, 현재까지 도로는 사람 운전자의 인지체계를 기준으로 도로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조만간 상용화될 자율주행차에 대해서도 안전한 주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현 시스템에서 변화가 필요한 부분에 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life and youth, 출처 Unsplash

또한 민간기업의 기술개발과 함께 국가 주도의 다양한 R&D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테스트 단계의 기술이 실제 도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도입 예상 시점을 기준으로 한 계획에 따라 추진해야 할 사항을 도출해야 합니다.국내 디지털 도로 인프라 구축 현황 다음으로 국내 디지털 도로 인프라 구축 현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공-자율주행부문 국토지리정보원은 정부의 자율주행차 상용화 지원 추진계획에 따라 2015년부터 국가지도 제작기관으로서 정밀 도로 지도를 구축·제공하고 있으며, 연차계획에 따라 정밀 도로 지도를 확대 구축·갱신하고 있습니다.

2021년 현재 고속국도 전 구간을 포함하여 약 6,700km에 대해 구축을 완료하였으며, 2022년 완료 목표로 일반국도 정밀도 지도를 구축 중에 있으며, 공공-도로관리부문 각급 도로관리청은 도로관리시스템과 도로대장을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한국도로공사는 도로정보 통합 플랫폼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토교통부는 국도 관리를 위해 스마트 도로 시스템과 도로대장 정보 시스템을 각각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한국국토정보공사에 위탁하고 있습니다.

© robertbye, 출처Unsplash

문제는 도로법상 도로관리를 위한 디지털자료의 데이터 사양과 구축기준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도로분류와 관리청별로 각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어 향후 이 점에 대한 개선이 필요합니다. 민간-공공협력 국내외 자동차업체 및 테크기업의 자율주행기술 개발과 함께 여러 민간기업이 정밀도로지도 구축 및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을 위한 정밀도로지도 기반을 구축하려는 주체들이 협력하여 정밀도로 구축·갱신을 효율화하기 위해 2019년 4월 26일 14개 업체와 국토교통부, 한국도로공사, 국토지리정보원이 MOU를 체결하였습니다.MOU 목표는 2030년까지 전국 모든 도로에 대해 정밀도로지도 갱신이 이뤄지도록 상호 협력하는 것이다.

© 2019 출처 Pixabay 해외 디지털 도로 인프라 관련 추진현황 미국 WorkZone Data Exchange(WZDx)를 통한 도로공사 정보공유 2018년 3월 시작된 ‘WorkZone Data Exchange(WZDx)’는 미국 연방도로국이 주도하여 각 도로에서 발생하는 도로공사 기간, 위치, 종류 등 다양한 데이터를 통일된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표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다양한 이용 주체가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WZDx 프로그램을 통해 구축된 표준 데이터는 다음 표에 나열된 오브젝트와 각 오브젝트의 속성 자료로 구성됩니다.

WZDx 표준화 데이터를 구성하는 주요 객체와 객체별 속성 유럽 디지털 도로 인프라를 포함하는 자율주행 도로 등급 정의 만들기 INFRAMIX 프로젝트는 EU가 주관하고 유럽 4개국(오스트리아, 독일, 스페인, 그리스) 민·관·학 11개 기관의 참여를 통해 일반 차량과 자율주행차 혼재에 필요한 물리적·디지털 도로 인프라에 대한 기준 마련을 목적으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되었습니다.인프라믹스 프로젝트에서 분류한 고등급 도로 인프라는 물리적 인프라와 디지털 인프라를 통합한 시스템이다.INFRAMIX 프로젝트의 주요 산출 결과 중 하나는 자율주행을 지원하기 위한 ‘ISAD 도로 인프라 등급(Infrastructure Support for Automated Driving Classification)’ 개발입니다.

ISAD(Infrastructure Support for Automated Driving) 등급표

인피라미스 프로젝트에서는 하이브리드 인프라 구축과 클래스 배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법적 규제에 대한 검토와 함께 대중적 수용성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일본의 자율주행용 정밀도로지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로대장 구축 및 현행화를 강조하는 일본의 도로대장은 도로를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수록하고 있어 도로 유지보수, 노후시설 관리, 교부금 지원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고 합니다.

도로대장 작성을 위해 기존의 측량방법과 자율주행용 정밀도 지도를 구축할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MMS(Mobile Mapping System)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MMS를 활용하여 도로대장을 갱신할 수 있도록 공공측량작업 규정을 두고 있어 정규화된 업무 프로세스에 따른 작업이 가능합니다.

일본 도로대장 관리 시스템의 사례

또한 도로대장 갱신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공간정보의 저비용·고효율 갱신 및 도로정보 조회·관리 기능 향상을 위해 MMS 장비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MMS 자료 취득 시 촬영한 로드뷰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장점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 fancycrave1, 출처 Pixabay

그렇다면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은 무엇일까요?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발전방향 표준화된 데이터 구축 및 구축방법의 효율화 미국, 유럽, 일본의 3가지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사항은 모든 도로에 대한 표준화된 데이터 구축임을 알 수 있습니다.도로변화정보의 중요성 공공영역에서는 도로공사 및 도로관리 업무계획에 따라 변화정보를 사전에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정보를 전국의 도로에 수집·배포할 수 있는 플랫폼은 민간에서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 Chase_0701, 출처 OGQ 디지털 도로 인프라를 고려한 자율주행 시대의 도로 등급, 그동안 자동차가 주행하는 환경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물리적 인프라의 특성 또는 해당 인프라 관리 주체가 중요시되었다면 향후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주행을 위해서는 물리적 도로 인프라의 특성뿐만 아니라 디지털 정보화 여부 및 정보 제공 수준도 중요한 변수가 되어야 합니다.이상, 국내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현황과 주요국의 해외 사례, 그리고 디지털 도로 인프라의 기본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 hdbernd, 출처 Unsplash

자율주행 시대의 도로 교통 시스템의 혼란을 막기 위해서는 지금이 준비를 위한 적기입니다.

해외 사례 등을 참고하여 디지털 도로 인프라가 성공적으로 구축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국교통연구원 ‘월간교통’ 22.7월호 바로가기↓↓↓↓↓www.koti.re.kr/user/bbs/BD_selectBbs.do?q_estnColumn4=&q_searchKeyTy=sj___1002&q_searchVal=&q_bbsCode=1017&q_bbscttSn=20220721183857616&q_clCode=4&q_lwprtClCode=&q_lwprtClNm=&q_art=&q_lang=&q_rowPerPage=10&q_currPage=1&q://https://www.koti.re.kr/user/bbs/BD_selectBbs.do?q_estnColumn4=&q_searchKeyTy=sj___100https_bbsSortType=&월간교통 2022-07 저자 한국교통연구원 발간일자 2022-07-21 발행기관 한국교통연구원 언어/페이지 수국문/88Page(s) 키워드 월간교통, 자율주행시대, ITS, 디지털도로인프라, 미래도로교통, 자율주행모빌리티, 자율주행차, 도로교통 디지털트윈, 모빌리티혁명, PM, 퍼스널모빌리티혁명, 미래도시, 드론, UAM, 자동차, 교통사고, 신호등, 모빌리티 대전환, 스위스, 전기차, 트란…www.koti.re.kr

#한국교통연구원 #월간교통 #월간교통7월호 #자율주행 #디지털도로인프라 #도로인프라 #자율주행시대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