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에이테스톤입니다힐팀버와 함께 안전하고 즐거운 드라이빙을 하고 계신가요?
오늘은 대한민국의 불명예 OECD 사고사망률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매우 어렵고 무거운 주제이지만 꼭 이야기하고 싶었던 부분입니다.
2013년도 OECD 국가 자동차 1만대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1위 왜 한국은 사망자 수가 높을까?


2013년 불명예 1위, 2018년 칠레-헝가리 1위, 2위 양보…
국가는 사고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목표를 두고 세부적으로 기획·관리하고 있습니다.
- 어린이보호구역 확대 2. 도심속도 제한 3. 고령운전자면허 자진 반납
- 등에 의해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최근의 통계를 보면….

출처 :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14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통계를 보이고 있어요.그럼에도 여전히 2019년 기준 3349명 OECD 선진국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준입니다.(독일, 일본 등)
경제 발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증가는 이해하지만 선진국에 진입하면서 관리해야 할 항목 중 하나입니다.안전한 나라를 싫어하는 국민은 없습니다.
그런데도 왜 한국은 사망자 수가 높을까.우리뿐만아니라여러분도생각할수있는문제입니다.
대표적으로 운전면허 간소화가 가장 주된 원인이 아닐까 싶습니다.
중국:63시간일본:60시간캐나다:연습면허후임시1년독일:운전연수만(90분12회),자동차보닛열고시험
한국 13시간
통계로도 나타납니다.
2020년 광역시도별 교통사고
어느 지역이 사고 건수 사망자 수 부상자 수가 높은가요?TAAS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의 통계 자료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늘어나는 렌터카 교통사고, 사고의 역주행? 이해할 수 없는 사고는 왜 일어납니까? (매년 230~280건)
교통사고 전후 비교 분석 시스템,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지점·구간에 대한 전후 교통사고 증감 현황 파악 교통사고 다발지역 바로가기 2020년 교통사고 통계사고 현황 전체(전년대비) 사망자 3,081(-8.0%), 부상자 306,194(-10.4%) 하루 평균 사망자 8.4, 부상자 838.9 사망자수 추세 2018년 2019년 2020년, 교통안전지수(2020년 기준) 기초자치단체별 인구 30만 이상 시(순위) 82.48점(1), 세종시 28.0%
교통사고의 사회적 비용만 따져봐도 상당합니다.상식적으로 운전을 하게 되면 사망 사고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사고도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도 눈이 많이 왔지만 기본적으로 다리 위는 미끄러워요.후륜 조향 자동차는 브레이크를 밟으면 후륜이 돌아올 수 있습니다.
이런 상식은 운전면허학원에서 가르쳐주지 않겠죠…
여러분은 오늘 도로 위에서 안전 운전하셨나요?혹시 방어운전을 위한 시트 포지션은 바르게 하고 운전하셨나요?타이어 공기압은 적당히 운행하나요?
저희가 “시트 포지션” “시트 포지션” “시트 포지션” 이야기하는 이유의 도안전을 운전하는 첫 단추이기 때문입니다.꼭 힐팀퍼를 구매하지 않으셔도 “시트포지션” 궁금하셨던 말씀드리겠습니다.누구에게나 everybody 시트 포지션 관련 링크 안녕하세요 에이테스톤입니다. 하르팀파와 함께 안전한 드라이빙을 하고 있습니까? 오늘은 시트 포지션과 관련된 blog.naver.com …. 힐팅을 통해 대한민국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