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가격 플랜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 정리

오늘은 넷플릭스 가격 정보와 요금제에 따라 달라지는 내용, 그리고 가장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있는데 자꾸 낮은 해상도로 재생될 때 확인해야 할 것들을 공유하고자 한다. 2021년 4월 7일, 30일 무료 체험 서비스를 중단하고 11월 18일부로 가격을 인상했는데, 최근 반 토막이 난 주가에 광고 삽입을 고려하고 있다는 사람들이 제공하는 요금제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자.

넷플릭스 요금제 종류 베이직 스탠다드 프리미엄 월 요금 500원 000원 최대지원 해상도 480p1080p4K+HDR 동시접속 가능 최대인원 124

Basic, Standard, Premium 세 가지로 나뉜다. 일단 최대 HD 해상도로만 재생되는 베이직은 무시하자. 몇 년 전 출시된 스마트폰도 출력 해상도가 이보다 훨씬 높다. 480p 화질을 잘 모르면 당장 유튜브에 접속해 화질을 480p급으로 맞춰놓고 무엇이든 재생해보자. 그럼 필자가 왜 무시하라고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스탠더드와 프리미엄 중에서는 동시접속 인원과 모바일 디바이스 외 PC 모니터와 TV에서도 영상콘텐츠 재생 여부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으로만 이용한다면 스탠다드, 대형 스크린에서 초고화질로 즐길 예정이라면 프리미엄이 적합하다.

그러나 각 넷플릭스 요금제 가격을 동시접속 가능한 최대 인원만 나누면 스탠더드가 6,750원, 프리미엄이 4,250원이 된다. 따라서 한 사람이 모든 금액을 부담할 것이 아니라 여러 명이 나눠서 낸다면 당연히 물어볼 것도 따지지 않고 17,000원짜리 요금제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이런 방식으로 매월 OTT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하는 고정비용을 줄이고 싶다면 ‘피클플러스’, ‘그레이태그’, ‘4flix’ 등 구독공유 중개 플랫폼이 답이 될 수 있다.

최대 4KHDR을 제공한다고 화질이 너무 안 좋은데?앞서 요금제에 따른 넷플릭스 가격과 차이점을 알아봤다. 필자를 포함해 대부분 프리미엄에 가입해 이용하고 있을 텐데 가끔 화질 때문에 고개를 갸웃거릴 때가 있다. 넷플릭스 화질은 기본적으로 재생기기와 인터넷 연결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된다. 즉 최대 UHD 해상도를 지원하는 프리미엄도 상황에 따라 베이직 최대 해상도, HD로 재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그런데 오류로 인해 화질이 다운그레이드 되는 경우가 많다. 화질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그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넷플릭스 홈페이지 들어가자. 오른쪽 프로필 아이콘을 선택한 후 [계정→프로필&어린이보호설정→재생설정]으로 순서대로 이동하면 된다. 거기서 「자동」으로 되어 있는 설정을 「고화질」로 변경하면 된다.

다만 와이파이&랜 접속 환경 또는 속도 제한이 없는 무제한 요금제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 설정은 오히려 자주 끊기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접속 여부, 속도에 관계없이 선명한 화질로 좋아하는 드라마, 영화를 즐기고 싶다면 모바일 앱 ‘콘텐츠 저장’ 기능을 활용하자. 넷플릭스 요금제 사용자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앱 설정에서 [콘텐츠 저장 영상 화질] 탭으로 이동해 고화질로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그리고 와이파이에 연결된 상태에서 원하는 영상을 내려받아 놓으면 된다.

모바일 게임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넷플릭스

그동안 넷플릭스 가격에 따른 차이와 화질 관련 칩을 몇 개 공유했다. 여전히 국내 점유율 1위인 OTT 서비스지만 수익성 악화로 최근 주가가 50% 이상 하락하면서 계정 공유 범위를 가족으로 제한하고 영상 중간에 광고를 삽입한다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언제 또 넷플릭스 요금제 인상이 단행될지는 알 수 없지만 본문에서 언급한 구독쉐어 서비스를 활용하면 저렴한 가격에 취향을 저격하는 다양한 영상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