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tory 모바일 앱에서 Google AdSense 광고 구현

T-Story 모바일 앱에서 Google AdSense 광고를 표시하기 위한 설정 방법에 대한 설명문입니다.카카오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기본적으로 구글 애드센스와 카카오 애드핏 광고를 게재할 수 있습니다. 일정한 자격을 취득한 후 등록한 광고의 뷰 또는 클릭으로 가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자신이 운영하는 티스토리 블로그에 광고를 등록하는 방법은 최소 4가지 이상 가능합니다.- 티스토리가 제공하는 기본 스킨 ‘북클럽’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1. 티스토리 제공 기본 스킨의 ‘skin.html’ 파일에 광고 코드를 직접 삽입하는 방법
  2. 2. 블로그 관리홈 사이드바에 광고관련 모듈을 등록하는 방법

3. ‘블로그 관리홈’의 ‘플러그인’에서 구글애드센스와 카카오애드핏 항목에 광고코드를 등록하고 활성화시키는 방법※20년에 ‘플러그인’, ‘AdFit’ 항목이 ‘수익-애드핏 관리’로 분리되었습니다.

4. 블로그에 글을 입력할 때 “기본 모드”를 “HTML” 입력으로 전환하고 본문에 직접 광고 코드를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는 방법, 어떤 방법을 사용하든 본인이 원하는 결과를 얻으면 됩니다. 그런데 티스토리 광고를 구현할 때 한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블로그에 PC 또는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접속할 때는 광고가 정상적으로 구현되지만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설치하는 티스토리 모바일 앱을 실행하여 블로그에 접속하면 본인이 등록한 광고가 보이지 않는 현상이 일부 블로거에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3~4번 방법을 사용하여 등록한 경우에만 T-Story 앱에서 광고가 제시됩니다.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에 이러한 설정이 누락되어 있으면 티스토리 모바일 앱 광고 수익을 포기하는 결과가 됩니다.

4번과 같이 문장에 직접 구글 애드센스 코드를 넣는 것은 글을 올릴 때마다, 그리고 T스토리 서버의 설정이 변경될 때마다 문장의 편집 형태가 왜곡되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구글의 경우 위의 광고 등록 방법 중 3번, ‘플러그인’에 접속하여 ‘구글 애드센스(모바일)’를 선택하고 정해진 형식에 따라 애드센스 광고를 등록해야 티스토리 모바일 앱에서 자신의 블로그에 접속했을 때 광고가 정상적으로 구현됩니다.

‘구글 애드센스(모바일)’에서 등록한 광고는 티스토리 모바일 앱에서만 효과가 있습니다. 즉, 다른 광고 등록 방법과 중복되지 않습니다.’구글 애드센스(모바일)’ 등록 간단한 설명

  1. 블로그 관리자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여 [블로그 관리 홈]에 들어갑니다.

2. ‘플러그인’을 선택합니다.

3. ‘GoogleAdSense’를 선택합니다.

4. 본문에 직접 삽입한 애드센스 광고를 모바일에서 ‘사용합니다’를 선택합니다.

※ 글의 본문에 입력한 애드센스 광고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티스토리 시스템에서 본문의 코드를 필터링하여 애드센스 광고 관련 내용의 출력을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5. 광고를 넣을 장소를 선택합니다.상단/하단/상단과 하단

‘상단과 하단’을 선택하면 2개의 입력란이 제시됩니다. 내부 글을 자세히 확인합니다. ‘320×50, 320×100, 300×250’의 3가지 모바일 배너 광고만 넣을 수 있습니다.구글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새로운 광고단위 생성 시 광고크기를 ‘반응형’으로 선택하면 아래 입력란에 입력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고정’으로 광고 사이즈를 만들어야 합니다.

변경사항 적용 버튼을 눌러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광고 코드가 활성화되고 티스토리 앱에서 광고를 볼 수 있습니다.

관련 정보는 아래 링크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블로그 관리 홈/플러그인/구글 애드센스(모바일) 본문에 링크가 있습니다.- 이 글을 입력하여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애드센스 숏컷 (https://www.google.com/adsense/app?hl=ko)

2. 구글 애드센스(모바일) 플러그인 안내(https://notice.tistory.com/2127)

error: Content is protected !!